발달지원학회지: 투고논문작성 안내
⑴ 논문은 반드시 HWP file로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⑵ 논문은 [학회지-논문작성안내]에 따라 작성하시기 바랍니다.
⑶ 논문의 길이는 15페이지 이내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.
⑷ 그림이나 표가 있는 경우
HWP file에서 본문과 함께 바로 열릴 수 있는 형식으로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그림이나 표는 각 페이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시켜 주십시오. 그림은 흑백으로 작성하여 명료하게 인쇄될 수 있어야 하며, 흐린 선, 가는 점선, 계조 흑백(예를 들어, 회색), 색채 등은 인쇄상의 문제가 있으니 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⑸ 영문초록에는 영문제목, 영문저자명, 영문소속(소속학교 및 학과명, 직위)을 반드시 넣어 주시기 바랍니다.
(영문초록의 위치는 참고 문헌의 다음입니다).
논문작성 세부 지침
(1) 기본 사항
구분 | 내용 |
---|---|
※ 제목 및 초록1단 편집, 본문은 2단 편집 (단 간격 5.0mm) | |
편집용지 | 사용자 정의, 폭 190mm, 길이 260mm |
용지 여백 | 위쪽 25mm, 아래쪽 16mm, 왼쪽 22mm, 오른쪽 22mm, 머리말 14mm, 꼬리말 15mm |
용지 방향 | 좁게 |
문단모양 | 들여쓰기 10, 줄간격 160%, 장평 95, 글자간격(자간) -10 |
마침표 다음 | 한 칸 띄도록 (두 칸이 아님) |
본문, 참고문헌 | 신명조, 10호, 보통모양 |
국문초록, 영문초록 | 신명조, 9호, 보통모양 국문초록 600자 내외, 영문초록 1,000자 이내 (영문초록:논문 맨 뒤에 첨부) |
쪽수 표시 |
(2) 세부 형식
구분 | 내용 |
---|---|
제목 | 신명조, 20호, 진하게, 가운데 [그 다음에 두 줄 띄우십시오] |
저자 | 신명조, 11호, 진하게, 가운데, 한 글자씩의 간격을 두어 표기 저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이름간의 간격을 최소한 세글자 이상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소속 및 직위 | 신명조, 10호, 진하게, 가운데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국문초록 시작 | 신명조, 9호, 보통모양, 양쪽 혼합, 첫 칸을 띄지 않고 시작 문단모양 여백: 왼쪽 15, 오른쪽 15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주요어 | 중고딕, 9호, 보통모양 [그 다음에 두 줄 띄우십시오] |
※ 여기서부터 2단 시작 (좌우 양단으로 편집함. 단 간격은 5mm) | |
본문 시작 | 신명조, 10호, 보통모양, 양쪽 혼합 |
본문소제목 | 중고딕, 10호, 진하게, 양쪽 혼합 [제목이 끝나면 한 줄 띄우십시 오] |
방 법 | 신명조, 11호, 진하게, 가운데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연구대상, 측정도구, 절차 등 | 중고딕, 10호, 진하게, 양쪽 혼합, 좌측 첫째 칸에서 시작 [그 다음 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연구대상, 측정도구, 절차의 내용 | 신명조, 10호, 보통모양, 양쪽 혼합, 첫 칸을 띄우고 시작 [그 다음 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결 과 | 신명조, 11호, 진하게, 가운데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결과의 내용 | 신명조, 10호, 보통모양, 양쪽 혼합, 첫 칸을 띄우고 시작 |
표1. 표제목 | 중고딕, 9호, 보통모양, 표 제목은 표의 위쪽 좌측에, 제목이 길어 서 두 줄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들여쓰기나 내 어쓰기를 하지 않고 그대로 표기 |
그림1. 그림제목 | 중고딕, 9호, 보통모양, 그림 제목은 그림 아래쪽 좌측에 |
논 의 | 신명조, 11호, 진하게, 가운데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참 고 문 헌 | 신명조, 11호, 진하게, 가운데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참고문헌의 내용 | 신명조, 10호, 보통모양, 양쪽 혼합, 문단 첫 줄부터 여백; 왼쪽 여백 4, 오른쪽 여백 0 첫째줄; 내어쓰기 15, 정렬; 양쪽 혼합 강동단, 김천란 (1970). 단서주기가 작업기억용량에 미치는 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7(중고딕, 10호, 보통모양), 23-41. |
※ 영문초록 | |
영문제목 | 신명조, 20호, 진하게, 가운데, 페이지를 바꾸어서 시작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요] |
영문저자명 | 신명조, 11호, 진하게, 가운데, 이름을 성보다 먼저 제시하고 이름과 성 중간에 ‘,’ 는 넣지마십시 오. |
영문소속 및 직위 | 신명조, 10호, 진하게, 가운데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요] |
영문초록시작 | 신명조, 9호, 보통모양, 양쪽 혼합 문단모양 여백: 왼쪽 15, 오른쪽 15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요] |
Keywords | 신명조, 9호, 이탤릭체, 양쪽 혼합, 첫 칸을 띄지 않고 시작 문단모양: 왼쪽 15, 오른쪽 15 [부록이 있을 경우 페이지를 바꾸 십시오] |
※ 부록 | |
부 록 | 신명조, 11호, 진하게, 가운데 [그 다음에 한 줄 띄우십시오] |
부록의 제목 | 신명조, 10호, 진하게, 가운데 (부록이 여러 개인 경우 부록마다 일련번호를 붙임) |
부록의 내용 | 신명조, 9호, 보통모양, 양쪽 혼합 |
(3) 기타 주의사항
구분 | 내용 |
---|---|
본문에서 인용한 참고문헌 표기 | - 본문 안에서는 ‘와/과’를 사용. 임꺽정과 장보고(1999) / 임꺽정, 장보고와 홍길동(2000) / Henman과 Brown(1992) / Henman, Brown과 Smith(1999) |
- 괄호 안에서는 쉼표(영문 &) 사용. 지적이 있다(임꺽정, 장보고, 1999). / (임꺽정, 장보고, 홍길동, 2000). / (Henman & Brown, 1992). / (Henman, Brown, & Smith, 1999). |
|
인용문 | 인용내용이 긴(3행 이상) 경우 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 한다. - 이 경우에는, 인용부분의 아래와 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띄 고 좌우로 각 각 3글자씩 들여 쓴다. - 인용문의 출처는 “저자(연도)”를 먼저 밝히고 인용문을 적거 나, 인용문 뒤 에 “저자(연도)”를 표기한다. - 저자가 다수인 경우: ① 3인까지만 모두 기재한다. 1: 신문자 외(1995), Boone et al.(1995) |
통계치 제시방법 | - M, t, F 등 통계치는 이탤릭으로 표기할 것. - df를 표기할 것. - ... 유의미하게 나왔다, F(1, 25) = 25.43, p<.05 |
※ 이하 투고논문작성 세부지침은 PC로 접속하시면 확인 가능합니다.